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Nobel prizes in Economic Sciences, Esther Duflo 에스더 뒤플로 노벨 경제학상

2017 - 2023 PARIS

by cindenella 2019. 10. 24. 23:50

본문

Novel Prize 2019 for Economics @Google pics 

 

올해 2019년 10월,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에서 노벨 경제학상으로 3명이 발표되었다. MIT 교수로 재직 중인 아비지트 바네르지 (Abhijit Banerjee), 에스더 뒤플로 (Esther Duflo) 부부와 하버드대 교수, 마이클 크레머 (Michael Kremer)가 공동으로 선정되었다. 노벨위원회는 이들 3명의 수상 이유에 대해서 "지구촌 빈곤 문제를 경감하기 위한 실험적 접근을 했다."는 것을 크게 평가했다. 이 중에서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로는 두 번째 여성이자 최연소 수상자로 이름을 올리게 된, 에스더 뒤플로 교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에스더 뒤플로는 누구인가?

Prof. Esther Duflo with her husband, Prof. Abhijit Banerjee in India @BBC Pics

 

에스더 뒤플로 교수는 프랑스 출신의 경제학자로 현재 MIT 교수이다. 나는 운이 좋게도 프랑스 파리정치대학원에서 공부하던 시기, 경제학 강의시간에 그녀의 수업을 들은 적이 있다. 당시 멀리 미국에서 MIT 교수가 직접 특별강의를 위해 방문해 준 것에 큰 기대를 가지고 강의에 참가했던 기억이 난다.

 

에스더 뒤플로 교수의 이번 노벨상을 수상하는 과정에서 경제학계의 여성차별에 대한 문제가 거론된 적이 있다. 그녀는 이번 노벨경제학상 3명의 공동수상자 중, 유일한 여성이자 최연소 수상자이다. 하지만 에스더 뒤플로라는 이름보다, 그녀의 남편이자 공동 수상자인 아비지트 바네르지의 "부인"으로 소개가 된 경우가 종종 있었다. 이는 그동안 경제학계에서 여성이 철저히 소외되며, 인종보다도 여성에 대한 차별이 뿌리 깊은 현상을 보여주었다. 

 

영국 주간지 이코노미스트에 따르면 실제로 학계에서 경제학 학사, 박사 과정에 재학 중이 여학생의 비율은 각가 58%, 32%로 높은 수치를 보이지만, 이들 중 여성 정교수는 13% 되지 않는다고 한다. 같은 배경과 능력을 가지고 있더라도 여성이라는 이유로 차별받고 무시당하는 학계의 현실에서 이번 뒤플로 교수의 수상이 큰 의미가 깊어 보인다. 특히 뒤플로 교수는 수상소감에서 "더 많은 여성이 사회에 진출하고 남성은 여성에게 마땅한 존경을 보이길 바랍니다."라며, 여성차별에 대한 이유 있는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빈곤퇴치를 위한 실험은 무엇인가?

 

전 세계 매일 2만5천명의 아이들이 계속해서 굶어 죽어가고 있다. 그리고 수십 년 간 해외원조는 계속되고 있음에도 가난한 나라들에서 빈곤 문제는 멈추지 않고 있다. 왜 그런 것일까? 이 질문에 답 하기 위해 뒤플로 교수는 4가지 질문을 던진다. 

 

첫 번째) 원조가 가난을 어떻게 멈출 수 있는가?

전 세계 빈곤퇴치를 위해서는 돈을 더 많이 쓰는 것이 중요하며 예산 확보를 위해 부자들에게 더 많은 세금을 걷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의 원조 효과가 미미한 것은 충분한 예산이 확보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아니면 이러한 국제사회의 원조는 빈곤퇴치에 영향을 끼칠 수 없다. 원조는 수혜국의 부정부패와 원조 의존도만을 높이는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올 것이다.

 

두 번째) 면역접종은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

면역접종은 개발도상국가들의 아이들을 살리는 데 있어 가장 돈이 적게 드는 방법이다. 또한 이를 위해 세계 백신 면역 연합(GAVI)과 빌 게이츠 재단에서는 많은 백신 개발에 많은 금액을 기부하고 사용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아직까지 지구 상에 수많은 아이들이 죽어가고만 있을까? 

 

세 번째) 말라리아를 대처하는 방법은?

말라리아는 지구 상에 매년 90만 명의 사람들의 목숨을 빼앗아 가고 있는 무서운 질병 중 하나이다. 그중 90%가 넘는 인구가 아프리카 지역에 있으며 85%가 5세 이하의 아이들이라고 한다. 오늘날의 신기술과 발전된 인프라를 갖춘 상태에서 말라리아 퇴치법은 이미 개발이 되어 있음에도 왜 사람들은 죽어나갈까?

 

네 번째) 더 나은 교육 발전은 무엇일까?

더 나은 교육 발전을 제공한다는 것은 단순히 아이들을 학교에 보내는 것에 그칠까? 더 많은 학교를 짓고 교사들을 고용하고 교과서를 나눠주는 방법이 다 일까?

 

이 4가지 질문에 답을 하기 위해 뒤플로 교수와 그녀의 남편, 바레느지 교수는 15년간 40여 개  나라의 빈곤 현장을 돌며 생활 밀착형 연구를 실시했다고 한다. 정확한 답은 없겠지만, 그들의 실험을 바탕으로 나온 대답은, '인간'에 대한 무한한 애정을 기반으로 가난한 사람들의 현실, 생각, 행동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단순히 원조를 통해 모든 것을 무료로 나눠주는 것보다, 인센티브를 통한 참여를 높이고, 영양 불균형이 악순환되고 있는 탄수화물 위주의 무료급식보다 더 나은 영양있는 식단을 보여주고, 예금과 보험 제도 정비 같이 가난한 이들의 눈높이에 맞춘 원조만이 빈곤을 해결할 최선책이라고 말해준다. 

 

이들의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실험적인 접근 방법으로 국제사회에서의 더 나은 노력이 기울여 진다면 지금으로부터 30년 후, 우리는 가난을 극복한 삶을 살고 있을까? 

 

 

 

 * 블로그 글 감상 후, 댓글과 공감을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공감은 로그인 없이도 가능합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