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의 이주문제
과연 무조건 부정적인 결과만 초래할까?
우리는 어떠한 미래를 준비해야할까?
프랑스 파리를 방문해 본 여행객이라면 누구나 에펠탑 앞에서 에펠탑 기념품을 팔고 있는 아프리카에서 온 노점상들을 한번씩 보았을 것이다. 파리에 살고 있는 나 역시 파리 중심을 벗어난 외곽 지역을 방문할 때마다 과연 이곳이 유럽인지, 아프리카인지, 궁금증이 생길 정도로 급증하는 아프리카 사람들을 보고 놀라고는 한다. 또한 티비나 신문기사에서 유럽 내 아프리카 이민자들이 초래한 여러 사회 문제들 내용이 매일같이 노출되고 있다.
과연 우리는 이런 아프리카 이민자들을 어떻게 바라보고 대처해 나가야 할까?
하지만 아프리카 내 이민자들의 역사와 배경을 살펴보면 우리가 모르는 사실들이 숨어있다. 이미 아프리카 대륙 내부에서 이민은 오래전부터 발생했다. 2000년 연구 조사를 따르면, 약 75%의 아프리카 대륙 내 인구가 이동했는 데 반해, 유럽 16%, 아메리카 5%, 오세아니아 4%, 그리고 아시아 내에서는 오직 0.3%의 이동이 이뤄졌다. 이렇게 큰 결과 차이를 보면 필자가 아프리카 현지에 살았던 당시가 떠오른다.
아프리카 남부지역 레소토에 살고 있을 당시, 내가 거주하던 아파트 옆집 사람들은 이웃나라, 콩고와 짐바브웨에서 온 사람들이었다. 또한 레소토 수도 마세루에서 제일 인기가 많았던 커피숍의 주인은 에리트리아에서 온 사람들이었다. 이렇게 외부에서 들어 온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레소토 내 대부분의 젊은 남성들은 이웃국가 남아프리카공화국 내 탄광촌으로 일자리를 찾아 떠나곤 했었다. 이는 바로 아프리카 내 자유로운 이동이 가져다 주는 다양한 사회적 결과를 보여준다.
아프리카 내 이민은 더 나은 일자리를 찾아, 전쟁과 가난을 벗어나 상대적으로 정세가 안정된 나라를 찾아, 인근국가로 이동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놀라운 사실은 그러한 변화가 여러 사회경제적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다 주는 것이다. 경제 성장에 힘을 주고 불평등을 줄이며 다양한 사회를 연결한다. 또한 인구성장과 감소에도 도움을 준다. 이에 맞서 이미 아프리카연합 (African Union)에서는 10년 전, 이미 아프리카 내부 이민정책을 발표하였고 잘 수립된 정책이 가져다 주는 다양한 사회 경제 발전의 가능성을 강조했다.
그렇다면 아프리카 대륙 내부에서 보여지는 자유로운 이동이 가져다 주는 긍정적인 결과가 왜 세계 속에서는 다르게 반영이 될까?
특히나 바다를 건너, 사막을 건너 목숨을 걸고 더 나은 선진국으로 이주했음에도 '불법이민자'라는 신분으로 각종 의심과 학대를 받으며 살아가는 모습을 보게 된다. 이러한 이민자 대다수는 합법적으로 생활하지 못하며 법적으로 보호받지 못하는 데서 인권이 침해되고 이들에 대한 대중의 오해를 부추겨 사회 불안을 조성하게 된다. 이러한 불법이민 문제가 최대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유럽 내에서 무조건 이민 제한 정책을 강화한다고 해결이 될까? 이는 결국 더 나은 해결책이 아닌, 합법적인 이주의 길이 막힌 이민자들은 어쩔 수 없이 비정상적인 방식을 따를 것이라고 믿는다.
따라서 불법이민을 무조건 막기보다 합법적인 이민의 길을 더 많이 열어 놓고 위험을 최소화하는 데 집중하기보다, 이민을 통한 여러 사회경제적 이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민이 결코 사회 문제만 초래하는 것이 아닌 이주자와 수용국 모두에게 경제사회적인 측면에서 이익이라는 분명한 증거 마련이 중요하다. 특히 그 연구의 바탕이 아프리카 -> 유럽 선진국으로의 이동보다 아프리카 -> 아프리카 인근 국가로의 이동에서 생겨난 다양한 이점을 우선 정확히 연구하고 결과를 분석하는 것도 중요할 것이다. 왜냐하면 이미 유럽 내에서는 본인들의 이점을 최대화 하기 위한 정책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더 나아가 이민현상이 계속해서 증가하는 세계 속 사회현상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세계가 공통으로 선언한 지속가능발전목표 아래, 우리가 과연 이민의 현상을 통해 이룰 수 있는 것들이 무엇이 있을지 더 깊이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피할 수 없는 이민 문제가 과연 우리 국가의 노동시장에, 농업발전에, 교육문제에, 투자와 재정 문제 등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올지. 그 연구를 통해 각 국가에서도 보다 긍정적인 발전을 위한 알맞은 정책수립을 할 수 있을 것이다.
[AFRICA 6] Why we don't go to school. (0) | 2018.12.24 |
---|---|
[AFRICA 5] 앙겔라 메르켈 당 대표 18년 후 사임, 그렇다면 아프리카의 장기집권 대표들은 누구일까? (0) | 2018.12.09 |
[AFRICA 4] What's driving high teenage pregnancy rates in Africa? (0) | 2018.12.05 |
[AFRICA 3] 에티오피아 '첫 여성 대통령' 탄생, Sahle-Work Zewde (0) | 2018.11.28 |
[AFRICA 2] 하나가 되는 아프리카, 자유무역지대(AFCFTA) 탄생 후 발전 방향은 무엇일까? (0) | 2018.11.17 |
댓글 영역